윌리엄스 팀 총괄 제임스 바울스는 F1 위원회에서 제대로 논의되지도 않은 채 2026년 모나코 그랑프리에서 의무 2스톱 규정이 다시 도입된 것에 대해 FIA에 이의를 제기할 예정입니다.
왜 중요한가
최근 모나코 GP에서 시범 운영된 2스톱 규정은 매우 논란이 많았습니다. 이 규정으로 인해 레이싱 불스, 윌리엄스, 메르세데스 세 팀이 한 대의 차량으로 고의적으로 경쟁자들을 붙잡아 팀 동료가 '자유로운 피트스톱'을 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드는 논란의 여지가 있는 전술을 사용했습니다. 이러한 조작은 레이스의 공정성을 해쳤고, 드라이버와 팬들로부터 비판을 받았습니다.
배경
2스톱 규정의 성공 여부에 대한 의견이 분분함에도 불구하고, FIA는 일방적으로 2026년 규정에 이를 다시 포함시켰습니다. 이 결정은 바울스를 놀라게 했는데, 그는 최근 F1 위원회 회의에서 이 문제가 논의되지 않았다고 지적했습니다.
- 조작 전술: 팀들은 두 번째 차량을 이용해 경쟁자들을 방해했고, 이를 통해 알렉스 알본과 카를로스 사인츠(윌리엄스) 같은 팀 동료들이 피트스톱 후 트랙 포지션을 확보할 수 있었습니다.
- 드라이버의 불편함: 알본은 자신들이 '나쁜 쇼를 보여줬다'고 공개적으로 사과하며, 이 전술이 답답하고 '별로 보기 좋지 않았다'고 인정했습니다.
바울스의 시각
바울스는 이 규정과 팀이 좋은 결과를 얻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사용해야 했던 전술에 대해 강한 불만을 표명했습니다.
- 바울스는 “우리가 먼저 시작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필드의 상황에 대응하여 그렇게 해야만 했습니다. 저는 그것을 좋아하지 않았습니다. 지금까지 제가 가장 불편함을 느꼈던 상황이었습니다”라고 말했습니다.
- 그는 시스템을 조작하여 포인트를 얻기보다는, 실력으로 포인트를 위해 싸우는 것을 선호한다고 밝혔습니다.
- FIA는 내년 레이스 이전에 F1 책임자들과 팀들 간의 논의를 통해 이러한 조작 전술의 재발을 막을 방법을 모색할 예정입니다.
다음 단계
바울스는 FIA의 싱글 시터 디렉터인 니콜라스 톰바지스와 만나 이 결정이 어떻게 논의되었는지에 대한 설명을 들을 예정입니다. FIA와 팀들은 불필요하게 느리게 주행하여 후발 주자들을 지연시키는 드라이버에게 페널티를 부과하는 등 가능한 조치에 대해 논의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이는 감독하기 복잡한 문제가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