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F1 2026 캘린더: 혁명의 시작
2026년 F1 시즌은 완전히 다른 스포츠가 될 것이다. 새로운 규정, 새로운 엔진, 새로운 연료. 그리고 이에 맞는 새로운 캘린더. 스테파노 도메니칼리가 말하듯, 이것은 "완전히 새로운 시대"다.
무엇이 바뀌나? 세 가지가 모든 것을 바꿀 것이다.
파워 유닛이 뒤집힌다. 복잡한 MGU-H가 사라진다. 내연기관과 전기 모터가 50:50으로 파워를 나눈다. 전기 모터는 3배 더 강력해진다. 아우디와 포드가 이 때문에 참여했다. 단순함이 메이저 제조업체들을 끌어들였다.
섀시가 더 민첩해진다. 휠베이스와 너비가 줄어든다. 무게는 30kg 감소한다. 윙을 조정할 수 있는 액티브 에어로가 들어온다. 직선에서는 항력이 적고, 코너에서는 다운포스가 많다. 이는 추월이 더 쉬워진다는 뜻이다.
연료가 녹색이 된다. 100% 지속 가능한 e-연료. 탄소 중립. 2030년 넷 제로 목표의 초석이다.
이 모든 혁명은 5개 대륙 24개 그랑프리에서 펼쳐진다. F1이 캘린더와 규정을 함께 발표한 이유다. 혁신, 성장, 지속 가능성. 이 세 단어로 새로운 비전을 팔고 있다.
2026 F1 캘린더
라운드 | 그랑프리 | 장소 | 날짜 |
---|---|---|---|
1 | 호주 | 멜버른 | 3월 6-8 |
2 | 중국 | 상하이 | 3월 13-15 |
3 | 일본 | 스즈카 | 3월 27-29 |
4 | 바레인 | 사키르 | 4월 10-12 |
5 | 사우디아라비아 | 제다 | 4월 17-19 |
6 | 마이애미 | 마이애미 | 5월 1-3 |
7 | 캐나다 | 몬트리올 | 5월 22-24 |
8 | 모나코 | 모나코 | 6월 5-7 |
9 | 바르셀로나-카탈루냐 | 바르셀로나 | 6월 12-14 |
10 | 오스트리아 | 슈필베르크 | 6월 26-28 |
11 | 영국 | 실버스톤 | 7월 3-5 |
12 | 벨기에 | 스파-프랑코르샹 | 7월 17-19 |
13 | 헝가리 | 부다페스트 | 7월 24-26 |
14 | 네덜란드 | 잔드보르트 | 8월 21-23 |
15 | 이탈리아 | 몬차 | 9월 4-6 |
16 | 스페인 | 마드리드 | 9월 11-13 |
17 | 아제르바이잔 | 바쿠 | 9월 25-27 |
18 | 싱가포르 | 싱가포르 | 10월 9-11 |
19 | 미국 | 오스틴 | 10월 23-25 |
20 | 멕시코 | 멕시코시티 | 10월 30-11월 1 |
21 | 브라질 | 상파울루 | 11월 6-8 |
22 | 라스베가스 | 라스베가스 | 11월 19-21 |
23 | 카타르 | 루사일 | 11월 27-29 |
24 | 아부다비 | 야스 마리나 | 12월 4-6 |
지역화 전략의 현실
2026년 캘린더는 '지역화'를 설파하지만 완벽하지 않다. 물류 효율성 개선이라는 목표는 맞다. 하지만 현실은 복잡하다.
아시아-태평양이 오프닝을 가져간다. 호주, 중국, 일본 순서다. 핵심 성장 시장에서 F1의 입지를 확보하려는 계산된 움직임이다. 바레인과 사우디아라비아는 라마단을 피하기 위해 4월로 이동했다.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더블헤더를 만들고 있다.
캐나다가 5월로 올라왔다. 전통적인 6월에서 5월 말로 옮겼다. 마이애미와 짝을 이루려는 의도다. 하지만 3주 간격이 있어서 완벽한 백투백은 아니다. 기존 계약과 기후 제약 속에서 이상적인 흐름을 만들기 위해 F1도 고군분투하고 있다는 걸 보여준다.
유럽은 통합됐다. 캐나다가 빠지면서 유럽 시즌이 더 응집력 있게 됐다. 6월 초 모나코부터 9월 중순 마드리드까지 이어진다. 시즌 중반에 캐나다로 가는 물류 낭비가 사라졌다. 팀들은 훨씬 효율적인 시즌을 보낼 수 있다.
피날레는 여전히 지옥이다. 오스틴, 멕시코, 브라질 트리플헤더. 그리고 라스베가스, 카타르, 아부다비 트리플헤더. 24경기를 끼워 넣으려는 상업적 탐욕과 팀 인력의 한계 사이에서 균형을 찾지 못했다.
마드리드: F1의 새로운 도박
2026년 최대 화제는 마드리드다. 'Madring'이라는 별명을 가진 이 새로운 서킷은 F1의 미래를 상징한다.
하이브리드 서킷이다. 총 길이 5.474km, 22개 코너. 공공 도로와 전용 트랙 구간을 섞었다. 최고 속도는 340km/h에 달한다. 2개의 터널과 상당한 고도 변화를 특징으로 한다. 다양한 요소를 모두 던져 넣었다.
가장 특별한 특징은 'La Monumental' 코너다. 잔드보르트에서 영감을 받았다. 24% 기울기로 550미터 이상 이어지는 뱅크드 코너다. 이런 코너는 F1에서 드물다.
3개의 추월 포인트가 예상된다. 320km/h에서 100km/h로 급제동하는 턴 1-2의 시케인. 턴 5-6의 타이트한 시케인. 느린 턴 13. 하지만 제다의 속도와 모나코의 추월 어려움을 결합한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민간 자본이 자금을 댄다. 완전히 민간 자본 주도다. 기존 유럽 그랑프리들과 다르다. 마드리드에 연간 4억 5천만 유로의 경제 효과와 8,200개의 일자리를 가져다줄 것이라고 주장한다. 카를로스 사인츠가 공식 앰버서더로 나섰다.
이몰라의 씁쓸한 퇴장
2026년 캘린더에서 가장 슬픈 소식은 이몰라다. 팬들과 드라이버들에게 사랑받던 서킷이 사라진다.
돈이 핵심 문제다. F1 호스팅 비용이 급등했다. 이몰라는 감당할 수 없었다. F1이 화려한 대도시 이벤트로 돌아서면서 작은 도시 이몰라는 이미지와 맞지 않는다고 판단됐다. 좁고 구불구불한 레이아웃도 현대 F1 머신에 맞지 않는다. 사실상 추월이 없는 레이스만 만들어낸다.
드라이버들은 분노했다. 베르스타펜과 피아스트리는 "역사적인 드라이버 서킷을 잃는 것은 부끄러운 일"이라고 말했다. 스포츠의 전통을 잃어버린다고 경고했다. 이몰라 시장은 "실망스럽고 씁쓸하지만, 아직 끝나지 않았다"며 복귀 의지를 표명했다.
마드리드 vs 이몰라 비교
- 마드리드: 하이브리드 스트리트 서킷, 100% 민간 자본, 대도시 이벤트, 추월을 위한 설계
- 이몰라: 레거시 트랙, 공공-민간 혼합, 역사와 전통, 추월하기 어려운 구조
결국 이몰라의 퇴장은 F1이 역사적 의미보다 새로운 시장에서의 상업적 잠재력을 중시한다는 뜻이다.
새로운 해결책으로서의 로테이션
24경기 상한선과 새로운 장소들이 등장하면서 F1은 '로테이션'을 도입했다. 스파가 첫 번째 케이스다.
스파는 격년제가 된다. 2026년부터 격년으로 캘린더에 등장한다. 아이코닉한 트랙을 완전히 잃지는 않는다. 하지만 매년 호스팅하는 전통이 깨진다. 팬들에게는 실망스러운 타협이다.
이 모델은 다른 유럽 서킷들에도 적용될 가능성이 크다. 실버스톤이나 몬차 같은 전통 장소들도 안전하지 않다는 뜻이다.
미완성의 숙제
2026년 캘린더는 개선됐지만 완벽하지 않다.
유럽 통합은 성공했다. 캐나다가 빠지면서 유럽 시즌이 더 깔끔해졌다. 하지만 아메리카 트리플헤더들과 마이애미-캐나다 사이의 어색한 간격은 여전히 남아 있다.
탄소 발자국은 여전히 숙제다. F1 전체 배출량의 45%가 물류에서 나온다. 지역화를 통한 감축을 약속하지만, 갈 길이 멀다.
전통 vs 성장의 기로
2026년 캘린더는 현대 F1의 핵심 갈등을 드러낸다. 마드리드와 라스베가스로 대표되는 성장은 무언가를 희생한다. 이몰라의 퇴장과 스파의 로테이션이 그 결과다.
F1은 더 글로벌하고 상업적인 엔터테인먼트를 위해 전통적 영혼의 일부를 포기하기로 선택했다. 계산된 선택이다.
내가 보기에는 이것이 불가피한 흐름이다. 하지만 드라이버들이 소중히 여기는 가치와 리버티 미디어의 재정적 현실 사이에서 올바른 균형을 찾고 있는지 의문이다.
F1은 정말 올바른 길로 가고 있는 걸까?